반응형

국어랑 영어랑 19

국어 문법 : 높임 표현 총정리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국어 문법높임 표현 총정리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국어 문법에서 높임법은 진짜 제일 많이 출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파트입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를 해 봤으면 좋겠어요.  먼저 높임법의 개념입니다.  높임법이란 화자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언어적으로 높고 낮은 정도를 구별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를 말합니다.  즉, 높임법은 높은 정도만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낮은 정도도 구별해서 표현한다는 점이 중요해요.  높임법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나뉘어요.  주체 높임법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주체 높임법은 문장에서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것을 말해요. 즉, 문장에서의 '주어'를 높이는 것입니다.  실현 방법은 크게 4가지..

국어 문법 2024.12.12

2025년 국어 수능 기출 : 현대시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분석 및 해설

2025년 국어 수능 기출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분석 및 해설 오늘은 2025년 수능 국어 기출 중 현대시 작품 허수경의 혼자 가는 먼 집 분석 및 해설을 해 보려고 합니다. 길지는 않지만 생소한 단어들도 꽤 나오고 있고 하고자 하는 말이 뭔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지는 않은 작품입니다.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분석 및 해설  연이 구분이 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몇 부분으로 끊어서 분석을 해 보도록 할게요.  당신……, 당신이라는 말 참 좋지요, 그래서 불러봅니다 킥킥거리며 한때 적요로움의 울음이 있었던 때, 한 슬픔이 문을 닫으면 또 한 슬픔이 문을 여는 것을 이만큼 살아옴의 상처에 기대, 나 킥킥……, 먼저 당신에 대해 언급하며 시작합니다. '당신'은 이별을 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어요. 뒤..

국어 문학 2024.12.10

2025년 수능 국어 기출 : 현대시 장석남 배를 밀며 해석 분석

2025년 수능 국어 기출현대시 장석남 배를 밀며 해석 분석 장석남의 배를 밀며 해석 분석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2025년 수능 국어 기출이기도 한 이 작품은 임용에도 나왔던 작품이기 때문에 꽤나 유명합니다. 우리가 문학 작품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제목을 통해 어떤 내용이 전개될 지 미리 생각해보는 거라고 할 수 있어요. 먼저 생각을 해야 합니다. '배를 밀며' 무슨 생각을 할 지에 대해 말이죠. 예측을 하는 것은 독서의 가장 기본입니다. 맞든 틀리든 하는 것이 중요해요. 배를 밀며는 총 5연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먼저 1연부터 보겠습니다. 배를 민다배를 밀어 보는 것은 아주 드문 경험희번덕이는 잔잔한 가을 바닷물 위에배를 밀어 넣고는온몸이 아주 추락하지 않을 순간의 한 허공에서밀던 힘을..

국어 문학 2024.12.06

국어 문학 고전시가 해석 해설 분석 : 윤선도 만흥

국어 문학 고전시가 해석 해설 분석윤선도 '만흥'국어 문학 고전시가에서 고1부터 고3까지 굉장히 많은 빈도로 나오고 있는 작품인 윤선도의 '만흥'에 대해서 분석을 해 보도록 할게요.  무엇보다도 고전시가를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해석'입니다.  영단어 외우듯이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그 뜻을 암기하는 게 필요해요.  왜냐하면 해당 작품만 아니라 다른 작품에서도 똑같은 단어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죠.  윤선도의 '만흥'은 총 6수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제1수의 현대어 풀이부터 하고 분석을 해 볼게요.  산과 시내 속의 바위 아래에 초가집을 지었더니, 나의 뜻을 모르는 속세 사람들은 비웃는다고 한다마는, 어리석고 시골에 살아 세상 이치를 모르는 사람의 뜻에는 이것이 내 분수인가 하노라  1수..

국어 문학 2024.12.06

2025 수능 국어 독서 지문 해설 : 밑줄 긋기 독서 전략 지문 및 문제 해설

2025 수능 국어 독서 지문 해설 : 밑줄 긋기 독서 전략 지문 및 문제 해설 이번에 준비한 자료는 2025 수능 국어 독서 지문 1~3번 지문 및 문제 해설입니다.  독서 지문 중 가장 쉬운 지문으로 독서 이론과 관련한 지문과 문제였습니다.  '밑줄 긋기'와 관련한 것으로 통상적인 오해와 이에 대한 본질을 대비해서 다루는 것이 특징적인 지문입니다.  먼저 1문단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1문단은 밑줄 긋기의 유용성에 대해 제시합니다.  1문단에서는 화제를 먼저 파악을 해야 하죠. '밑줄 긋기 독서 전략'이 화제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유용하게'라는 표현을 통해 뒤에 유용한 이유에 대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을 해야 합니다.  밑줄 긋기는 첫 번째, 정보를 머릿속에 저장하고 기억한 내용을 떠올리는..

국어 독서 2024.12.05

2025년 달력 PDF, PPT 형식 무료 공유 : 연휴와 공휴일 절기 포함

2025년 달력PDF, PPT 형식 무료 공유 프리한 에듀에서 준비한 2025년 달력입니다.  직접 만들어 봤는데 저는 여러 날들이 너무 많이 들어 있으면 정신이 없어서 저한테 맞게끔 만들었어요.  공휴일과 연휴 그리고 절기는 포함을 했기 때문에 컴팩트한 형식입니다!  1월의 공휴일은 1월 1일 신정, 1월 28일, 29일, 30일에 있는 추석입니다.  우리나라의 절기는 총 24절기로 이루어져있는데요.  먼저 1월에는 1월 5일의 소한과 1월 20일의 대한이 있습니다.  소한은 1년 중에서 제일 추운 날을 말하죠. 대한은 1년 중 큰 추위로 대한보다는 안 춥지만 그래도 매우 추운 날을 말합니다.  TMI로 전 1월 6일에 태어났는데용:) 엄마가 저 낳으실 때 엄청 추우셨을 것 같아요,,   2월에는 안타..

추가 자료 2024.11.29

국어 화법과 작문 정리 : 공손성의 원리 예시 개념 총정리

국어 화법과 작문 정리공손성의 원리 예시화법 대화의 원리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이 바로 공손성의 원리입니다.  다른 원리와 다르게 많이 헷갈려 하는 개념이기도 한데요.  오늘 그 예시를 통해 확실하게 정리를 해 보도록 할게요!  먼저 공손성의 원리란 상대방을 존중하며 공손하게 말하는 것으로 정중어법이라고 합니다.  이때, 높임 표현을 쓰는 것과 공손성의 원리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손하게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대화 참여자들 사이의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를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공손성의 원리예요.  공손성의 원리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그 중 요령의 격률과 관용의 격률을 구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것 말고는 사실 어려울 게 하나도 없습니다.  먼저 요령의 격률이란 상대방에게 ..

국어 문법 정리 -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 독립성분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과 독립성분프리한 에듀에서 저번 시간에는 국어 문장 성분 종류 중 주성분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요. 오늘 부속성분과 독립성분만 하면 중요한 내용은 끝이 납니다.  부속 성분은 관형어와 부사어로 2가지가 있고, 독립성분은 독립어로 1가지가 있어요.  한 번 다시 복습하고 갈게요.  문장 성분은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성분으로 구성됩니다. 사실 주성분보다 부속성분에서 관형어와 부사어를 구분하는 문제의 출제 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독립성분은 자체적으로는 문제 출제가 거의 안 된다고 보면 돼요.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의 첫 번째는 관형어입니다. 관형어란 주로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을 말하는데요.  3가지의 경우로 대부분 실현이 됩니다.  먼저 관형사 ..

국어 문법 2024.11.27

국어 문법 정리 :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프리한 에듀 국어 문법 정리. 오늘은 문장 성분의 종류 중 주성분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문장 성분은 이후 나오는 문장 표현들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됩니다. 문장과 관련한 문법 문제들의 골격이 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죠.  주성분이 단독으로 문제가 나오는 경우 서술어의 자릿수와 관련한 문제가 굉장히 높은 빈도로 다수 출제됩니다.  문장의 성분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성분으로 나뉘는데요. 그 중 주성분이 4가지 문장성분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은 수의 문장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주성분은 문장의 골격이 되는 성분으로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어요.  부속성분은 주성분을 수식하는 성분으로 관형어, 부사어가 있습니다.  독..

국어 문법 2024.1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