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국어 문법 : 높임 표현 총정리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프리한 생활과 교육 2024. 12. 12. 17:11
반응형
국어 문법
높임 표현 총정리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국어 문법에서 높임법은 진짜 제일 많이 출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파트입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를 해 봤으면 좋겠어요.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먼저 높임법의 개념입니다. 

 

높임법이란 화자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언어적으로 높고 낮은 정도를 구별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를 말합니다. 

 

즉, 높임법은 높은 정도만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낮은 정도도 구별해서 표현한다는 점이 중요해요.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높임법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나뉘어요.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주체 높임법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주체 높임법은 문장에서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것을 말해요. 즉, 문장에서의 '주어'를 높이는 것입니다. 

 

실현 방법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용언의 어간에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으)시'가 결합하는 것입니다. 

 

둘째, 특수한 어휘를 쓰는 것인데요. 객체 높임법에서도 특수한 어휘를 쓰기 때문에 이를 잘 구별해야 합니다. 특수한 어휘가 문장의 주어를 높이면 주체높임의 특수어휘가 되는 것입니다. 

 

셋째, 주격조사 '이, 가' 대신에 '께서'를 쓰는 것입니다. 

 

넷째, 주어인 명사에 '-님'을 붙이는 것이죠. 예를 들어, 선생이 아니라 '선생님'이라고 하는 것은 주어를 높이는 것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할머니께서 고향에 가시다. 라는 예시를 볼게요. '께서'와 '-시'를 통해 주체 높임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할머니께서 고구마를 드시다. 라는 예시에서는 '드시다'라는 특수어휘를 쓰고 있는데요. 이때, '드시다'는 주어인 할머니를 높이는 것이라서 주체 높임의 특수 어휘가 됩니다.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첫째, 직접 높임입니다. 이는 문장의 주체를 직접 높이는 것을 말해요. 

 

즉, 할머니께서 도서관에 도착하셨다. 에서 '도착하셨다'는 표현은 '할머니'라는 문장의 주체를 직접 높이는 것입니다. 

 

둘째, 간접 높임입니다. 이는 주체와 밀접하게 관련이 된 대상을 높이며 주체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것인데요. 

높임 대상의 소유물, 신체 일부분, 관련 있는 말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할머니께서는 아직 귀가 밝으시다. 에서 '밝으시다'는 할머니의 신체 일부인 '귀'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것이에요.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한편, '말씀'이라는 단어는 따로 좀 기억을 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말씀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쓰일 수 있어요. 

 

첫째, 남의 말을 높여 이를 때 흔히 쓰입니다. 예를 들어, 어머님 말씀이 옳으시다 와 같이 쓰일 수 있죠. 

 

둘째, 자기의 말을 낮추어 이르는 말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말씀만 드리고 갈게요. 에서 '말씀'은 자신의 말을 낮추는 것이죠.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국어 문법 높임 표현 중 객체 높임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객체 높임법은 문장에서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문장에서 서술의 객체는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현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특수한 어휘를 쓰는 것이 대표적인데요. '드리다', '모시다'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사격 조사 '에게' 대신에 '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철수가 선생님께 사과를 드리다.'에서 '드리다'는 선생님 이라는 부사어를 높이기 위해 쓰인 특수어휘로 객체 높임에 해당합니다.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마지막으로 살펴볼 국어 문법 높임 표현은 상대 높임법 입니다. 이는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종결 표현을 통해 실현할 수 있어요. 이게 좀 복잡하기 때문에 아래 표를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국어 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상대 높임의 종결표현은 크게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뉩니다. 격식체는 공식적인 사이에서 쓰는 것이고, 비격식체는 좀 더 친근한 경우에 쓰는 것입니다. 

 

격식체는 그 높임의 순으로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로 나뉩니다. 

 

비격식체는 해요체, 해체로 나뉘죠. 

 

이러한 명칭은 '명령법'의 종결 표현을 통해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해서 외우면 돼요. 

 

그리고 상대 높임의 종결 표현은 외우기가 사실 쉽지는 않은데요. 

 

외우기 쉬운 방법은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파악을 할 수 있는 애들은 뺀 뒤에 애매한 애들만 외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하는구려' 같은 것은 하오체인지 하게체인지 좀 애매하죠. 이런 애들만 따로 체크를 해서 외우는 거예요. 

 

지금까지 국어 문법 높임 표현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