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과 독립성분
프리한 에듀에서 저번 시간에는 국어 문장 성분 종류 중 주성분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요.
오늘 부속성분과 독립성분만 하면 중요한 내용은 끝이 납니다.
부속 성분은 관형어와 부사어로 2가지가 있고, 독립성분은 독립어로 1가지가 있어요.
한 번 다시 복습하고 갈게요.
문장 성분은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성분으로 구성됩니다.
사실 주성분보다 부속성분에서 관형어와 부사어를 구분하는 문제의 출제 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독립성분은 자체적으로는 문제 출제가 거의 안 된다고 보면 돼요.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의 첫 번째는 관형어입니다.
관형어란 주로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을 말하는데요.
3가지의 경우로 대부분 실현이 됩니다.
먼저 관형사 그 자체로 관형어가 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그가 새 집을 사다'에서 '새'는 관형사이면서 관형어가 됩니다.
두 번째, 체언에 관형격 조사('의') 가 결합하여 형성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바다의 풍경이 좋다'에서 '바다의'는 '바다'라는 체언에 '의'라는 관형격조사가 붙어서 형성이 된 것이죠.
그러면서 '바다의' 자체가 뒤에 오는 '풍경'을 수식하게 됩니다.
그 다음 용언의 관형사형은 좀 까다로우니 밑에서 자세히 보도록 할게요.
한편, 관형어는 체언 없이 자립해서 나올 수 없습니다. 자립 형태소이긴 하지만,,
그리고 의존명사 관련한 문제가 나올 때 관형어는 필수적으로 나온다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민지가 에스파를 좋아하는 줄 알았다' 라는 문장에서 '줄'은 의존명사인데요. 앞에 '좋아하는' 이라는 관형어 없이 혼자 단독으로 올 수 없습니다.
그리고 관형어에서 제일 까다롭다고 할 수 있는 용언의 관형사형입니다.
용언의 관형사형은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가 붙은 것을 말합니다.
관형사형 어미란 이 때 4가지가 있는데 암기 필수인데요. '(으)ㄴ, '(느)ㄴ, (으)ㄹ, 던' 입니다.
'좋은 사람'이라는 문장에서 '좋은'은 '좋다'라는 용언의 어간 '좋-'에 '은'이라는 관형사형 어미가 붙어서 관형어가 된 것입니다.
사실 관형어에서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이 용언의 관형사형인데 이번 계기로 확실하게 알아갔으면 좋겠어요.
관형사형 어미는 시제에 따라서 다르게 쓰이는 것인데 사실 외우기 보다는 곧바로 보면 어떤 시제인지 알 수 있어요.
한국인이라면 무조건 알 수 있는 거니까 시제가 무엇인지까지는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그 다음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부속성분 부사어에 대해 살펴볼게요.
부사어는 주로 용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입니다.
관형어와 동일하게 3가지의 방법으로 실현을 할 수 있어요.
부사 자체는 부사어가 당연히 될 수 있고, 체언+부사격조사도 부사어가 됩니다.
이 때, 부사격 조사는 종류가 다양합니다. 그래서 나올 때마다 기억을 하는 것이 좋아요.
용언의 부사형도 마찬가지로 뒤에 가서 더 자세히 볼게요.
용언의 부사형은 용언의 어간에 부사형 어미가 결합을 한 것을 말합니다.
이 때 부사형 어미는 '-게, -도록, -아서/어서'가 있습니다.
'우주가 고구마를 먹게 두어라'에서 '먹게'라는 표현은 '먹다'라는 용언의 어간 '먹-'에 '-게'라는 부사형 어미가 붙어 형성이 된 것으로 '먹게'가 뒤에 나오는 용언 '두어라'를 꾸미게 됩니다.
부사어는 한편 크게 성분 부사어와 문장 부사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분 부사어는 용언을 수식하는 기능, 관형어를 수식하는 기능, 부사어를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데요.
뒤에 곧바로 나오는 성분을 수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문장 부사어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과연, 그러나' 같은 것들이 해당하는데요.
이 때 '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와 같은 접속 부사어도 문장 부사어에 속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마지막 독립성분입니다. 이제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마지막 단계인데요.
독립어는 말 그대로 다른 문장 성분들과 관계를 맺지 않습니다.
감탄사와 체언+호격조사로 대부분 실현이 되는데요.
감탄사는 발화하는 사람의 놀란 감정, 기쁜 감정 또는 슬픈 감정 같은 것을 소리 내어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때 호격 조사란 누군가를 부를 때 쓰는 조사로 '아, 야, 이시여'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를 다 정리해보았는데요.
어려운 것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을 달아주세요.
마찬가지로 PPT 필요하시면 댓글 주시구요:)
문장 성분 종류 중 주성분에 관련한 정보는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2024.11.27 - [국어 문법] - 국어 문법 정리 :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국어 문법 정리 :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프리한 에듀 국어 문법 정리. 오늘은 문장 성분의 종류 중 주성분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문장 성분은 이후 나오는 문장 표현들을 이해하는 데 기본
free-edu.co.kr
프리한 에듀에서 국어 문법 정리 문장 성분 종류 쉽게 해 봤습니다:)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문법 : 피동 사동 구별법 개념 총정리 기출 풀이 (0) | 2024.12.13 |
---|---|
국어 문법 : 높임 표현 총정리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0) | 2024.12.12 |
국어 문법 정리 : 문장 성분 종류 - 주성분 (0) | 2024.11.27 |